소득·교육 낮은 계층, 골다공증 유병율 2배 높아
- 국제학술지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게재 -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과 교육 수준,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율 차이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교신저자) ․ 명준표(제1저자) 교수팀은 2008년, 2009년 제4차 국민건강영향조사 자료 중 골밀도 검사를 받은 9,995명을 대상으로 학력과 소득정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팀은 남성과 폐경 전․후 여성 총 3그룹으로 나눈 뒤, 학력은 초․ 중․고․대학교 이상으로, 소득정도는 한 달 평균 수입을 기준으로 총 4분위로 분류하였다.
학력과 소득 낮으면 골밀도 낮아
그 결과 초등학교 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이 대학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에 비해 골밀도 수치가 최대 0.123 g/cm2 낮았다. 가계소득 수준 역시 소득이 가장 적은 사람이 가장 높은 소득수준의 대상자 보다 골밀도 수치가 0.090 g/cm2낮았다.
학력과 소득 낮으면 골다공증 유병률 2배 높아
초등학교 이하 학력군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성 8.2%, 폐경기 여성 39.0%으로 대학이상의 학력군의 남성4.4%, 폐경기 여성 21.6%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가계 소득이 낮은 사분위에 해당되는 남성의 유병률은 10.5%로, 가장 높은 소득군의 5.3% 비해 약 2배가량 높았다.
골다공증 건강불평등 지수, 학력별 최대 4.73배 소득별 최대 3.61배 차이
학력에 따른 골다공증 건강불평등 지수부분은 학력이 낮은군의 남성은 3.29배, 폐경후 여성은 4.73배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소득에 따른 건강불평등 지수 역시 저소득 가정일수록 남성은 3.61배, 폐경후 여성은 2.7배 높았다.
건강불평등 지수는 건강과 보건의 질이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동등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RII (Relative Index of Inequality)를 사용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별 인구수를 고려한 전체 인구대비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여, 가장 높은 상대위치 집단과 가장 낮은 상대 위치 집단의 비율을 측정하여 값을 구한다.
교육수준과 가계소득 높으면 건강에 관심 많아 골다공증 발생 적어
직업환경의학과 명준표 교수는 “교육수준과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최대 골량이 형성되는 영유아 및 청소년 시기에 건강과 영양관련 정보를 많이 얻는 기회가 생기고, 골 건강에 이로운 음식을 섭취하며, 운동의 기회가 많을 뿐 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 보이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적게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형렬 교수는 “이미 사회경제적 지위가 비만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질환 발생과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골다공증에서도 건강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최근 소득불균형이 심해짐에 따라 소득과 교육이 낮은 사람들의 골다공증도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발생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골다공증은 글자 그대로 ‘구멍이 많이 난 뼈’를 의미하는데, 뼈가 약해지면서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골다공증이 생기면 약간의 충격만 받아도 쉽게 골절이 생긴다. (그림1)
특히 요즘 같은 빙판길에 낙상사고로 팔목이나 발목에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지만 척추 골절은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사소한 충격만으로도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척추 골절이 있으면 척추가 굽을 수 있다.
정형외과 김영훈 교수는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은 비교적 치료 결과가 좋으나 후만변형 및 신경 손상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 또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초기의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며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40대 이전에 충분한 유산소 운동과 영양공급을 하고, 주기적인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는 “갱년기 여성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되면서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져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폐경이후 더욱 각별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2012년 5월호에 게재됐다.
--------------------------------------------------------------------------------------------------
골다공증 검사는 촬영을 통하여 얻은 영상자료를 컴퓨터가 계산하여 요추와 대퇴골에 대한 골밀도를 구하고(g/cm), 이 값이 20~30대 동일 성별 정상인의 골밀도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수치화 한 T값을 얻게 된다. 영상의학과 등 검사를 시행한 진료과의 의사가 이 값을 분석하여 골다공증의 유무나 정도를 평가한다. 판정 결과는 T값에 따라 정상(-1.0 이상), 골결핍(-2.4~-1.1), 골다공증(-2.5 이하) 세 가지로 나오며, 후자일수록 뼈의 양이 감소된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
소득·교육 낮은 계층, 골다공증 유병율 2배 높아
- 국제학술지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게재 -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과 교육 수준,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율 차이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교신저자) ․ 명준표(제1저자) 교수팀은 2008년, 2009년 제4차 국민건강영향조사 자료 중 골밀도 검사를 받은 9,995명을 대상으로 학력과 소득정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팀은 남성과 폐경 전․후 여성 총 3그룹으로 나눈 뒤, 학력은 초․ 중․고․대학교 이상으로, 소득정도는 한 달 평균 수입을 기준으로 총 4분위로 분류하였다.
학력과 소득 낮으면 골밀도 낮아
그 결과 초등학교 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이 대학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에 비해 골밀도 수치가 최대 0.123 g/cm2 낮았다. 가계소득 수준 역시 소득이 가장 적은 사람이 가장 높은 소득수준의 대상자 보다 골밀도 수치가 0.090 g/cm2낮았다.
학력과 소득 낮으면 골다공증 유병률 2배 높아
초등학교 이하 학력군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성 8.2%, 폐경기 여성 39.0%으로 대학이상의 학력군의 남성4.4%, 폐경기 여성 21.6%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가계 소득이 낮은 사분위에 해당되는 남성의 유병률은 10.5%로, 가장 높은 소득군의 5.3% 비해 약 2배가량 높았다.
골다공증 건강불평등 지수, 학력별 최대 4.73배 소득별 최대 3.61배 차이
학력에 따른 골다공증 건강불평등 지수부분은 학력이 낮은군의 남성은 3.29배, 폐경후 여성은 4.73배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소득에 따른 건강불평등 지수 역시 저소득 가정일수록 남성은 3.61배, 폐경후 여성은 2.7배 높았다.
건강불평등 지수는 건강과 보건의 질이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동등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RII (Relative Index of Inequality)를 사용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별 인구수를 고려한 전체 인구대비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여, 가장 높은 상대위치 집단과 가장 낮은 상대 위치 집단의 비율을 측정하여 값을 구한다.
교육수준과 가계소득 높으면 건강에 관심 많아 골다공증 발생 적어
직업환경의학과 명준표 교수는 “교육수준과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최대 골량이 형성되는 영유아 및 청소년 시기에 건강과 영양관련 정보를 많이 얻는 기회가 생기고, 골 건강에 이로운 음식을 섭취하며, 운동의 기회가 많을 뿐 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 보이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적게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형렬 교수는 “이미 사회경제적 지위가 비만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질환 발생과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골다공증에서도 건강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최근 소득불균형이 심해짐에 따라 소득과 교육이 낮은 사람들의 골다공증도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발생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골다공증은 글자 그대로 ‘구멍이 많이 난 뼈’를 의미하는데, 뼈가 약해지면서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골다공증이 생기면 약간의 충격만 받아도 쉽게 골절이 생긴다. (그림1)
특히 요즘 같은 빙판길에 낙상사고로 팔목이나 발목에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지만 척추 골절은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사소한 충격만으로도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척추 골절이 있으면 척추가 굽을 수 있다.
정형외과 김영훈 교수는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은 비교적 치료 결과가 좋으나 후만변형 및 신경 손상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 또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초기의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며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40대 이전에 충분한 유산소 운동과 영양공급을 하고, 주기적인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는 “갱년기 여성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되면서 골밀도가 급격히 낮아져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폐경이후 더욱 각별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2012년 5월호에 게재됐다.
--------------------------------------------------------------------------------------------------
골다공증 검사는 촬영을 통하여 얻은 영상자료를 컴퓨터가 계산하여 요추와 대퇴골에 대한 골밀도를 구하고(g/cm), 이 값이 20~30대 동일 성별 정상인의 골밀도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수치화 한 T값을 얻게 된다. 영상의학과 등 검사를 시행한 진료과의 의사가 이 값을 분석하여 골다공증의 유무나 정도를 평가한다. 판정 결과는 T값에 따라 정상(-1.0 이상), 골결핍(-2.4~-1.1), 골다공증(-2.5 이하) 세 가지로 나오며, 후자일수록 뼈의 양이 감소된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